남부 프랑스 동영상

레스토 뒤 쾨르 (무료 급식)
매년 겨울철, 거리의 극빈자들에게 따뜻한 식사를 무료 제공하는 ‘마음의 식당’ 레스토 뒤 꾀르!!! 12월 초부터 다음해 3월 말까지 무료급식 ‘밥퍼’를 시작하는데, 우리나라의 최 일도 목사님 ‘밥퍼’를 밴치매킹??? 누가 원조일까??? 자신의 어린 시절 불우한 환경에서, 배고픔을 겪은 유명한 프랑스의 코미디언 ‘꼴뤼쉬 Coluche’에 의하여 하루에 2십만 식사를 무료 제공하겠다는 목표로, 1985년 12월 21일 처음으로 무료 급식을 시작한 레스토 뒤 꾀흐 Restos du Cœur…… 작년에는 5,1000 명의 무료봉사자들 덕분에, 프랑스 전국에 1,900개의 센터와 240개의 식당에서 무려 70만 명의 각기 다른 사람들에게 8천 5백만 끼니를 제공하였단다. 특히, 노년 빈곤층이 증가추세인데, 이는 프랑스가 자랑하는 ‘사회 보장제도 Sécurité sociale‘가 무너져 가는것이 아닐까라는 의구심을 갖게 한다. 실업률이 떨어졌다는 정부의 발표와는 별개의 문제로 거리를 떠도는 극빈층이 늘고 있다는 증거이고, 매년 200 명 정도의 걸인이 사망한단다. 극빈층의 문턱에서 생활하는 숫자는 대략 370만 명으로 추정한다고…… 일선에서는 500 만명을 웃돈다는 주장!!! 어쩐지, 요즘은 수퍼마켙 쓰레기 통을 뒤지는 사람들이 부쩍 늘었으며, 지하철에서 구걸하는 걸인들이 점점 늘고 있는 추세이다. 자존심 강하기로 유명한 프랑스 사람들이 자존심 버리고…..

정당과 정책
프랑스의 정당체계는 여러 개의 정당들로 이루어진 다당제를 이루고 있는데, 중도 우파나 중도 좌파가 주된 정치세력을 형성하고 있지만, 극좌에서 극우에 이르기까지 모든 정당을 도표화하면 마치 산(山)과 같은 모형을 이루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알고가자, 프랑스 각 정당과 정책!! 이러한 정당체계는 군소정당의 난립으로 어느 한 정당이 절대다수를 차지하기가 무척 힘든 상황이고, 프랑스에서만 가능한 동거정부라는 특이한 형태의 내각이 형성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각 정당의 노선 및 구성을 알고가자!!!! 프랑스 공산당 PCF Parti communiste française 1920년 프랑스에서 결성된 공산당. 제2차 세계 대전 후 제1당으로 입각했으나 라이지에 내각에서 추방된 이후로 야당의 자리를 지켜오고 있다. 서구에서는 이탈리아 공산당 다음으로 큰 세력을 장악하고 있으며, 원래는 친소 노선을 따랐으나 1976년 제22차 전당 대회에서 독자 노선을 선언했다. 조르주 마르셰 전 서기장은 소련의 인권 억압과 정치 탄압을 거부하고 어떤 공산 체제에도 구속받지 않는 독자 노선의 추구를 선언하였으며, ‘프롤레타리아 독재 노선’의 포기를 선언하여 국민의 지지도를 높였다. 77년 사회당과의 연합으로 지방 선거에서 52%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321개 도시에서 승리하였다. 이러한 공산당을 비롯한 좌파의 승리는 사회주의 정권의 출현을 우려하는 미국의 성명으로 내정 간섭 논쟁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1920년에 뚜르(Tours)에서 창설된 프랑스공산당(PCF)은 일상적으로 동원이 가능한 대중정당이다. 지방 및 지역조직뿐만 아니라 기업체세포와 전국 노동조합 조직인 총노동자동맹(CGT: Confederation generale du travail) 덕택으로 노동계급과 매우 밀착되어 있다. 공산당 지지자 수는 해가 거듭할수록 급격하게 줄어들고 있으며, 1990년대에 들어와서는 소련체제의 […]

프랑스 교육제도 체계
프랑스는 1789년 ‘프랑스 대혁명‘ 정신에 그 기초를 두고, 공교육체제로 국가가 주도하는 한편, 국가와의 계약을 통해 지원을 주는 사교육제도를 도입하여, 교육의 자유, 무상, 무종교, 의무 ( 10년, 6-16세 ) 및 국가에 의한 자격과 학위의 관리라는 5가지 원칙을 세워서 운영하고 있는데, 교육기관 수준별로 그 상황을 알고가자, 프랑스 교육제도!!! 가. 유치원 교육제도 초등학교 취학 이전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기관으로, 앞으로의 초등학교 생활에 적응할 수 있는 기초능력을 길러주는 것을 일차 목표로 한다. 어린 나이부터 남과의 바람직한 관계를 경험하게 하고, 새로운 것을 배우는 것에 호기심과 성취욕을 가지게 도와주며 아울러 가벼운 운동을 통해 건강을 누리게 하고 음악, 미술, 만들기 등의 자질을 길러주는 것도 그 목표에 포함된단다. 수업시간은 하루에 6시간, 일주일 5일, 일주일에 27시간을 초과할 수 없게 되어 있으며, 3세 이상 6세 미만의 아동이 취학하고 에외적으로 2세의 입학이 허용되기도 한다. 유치원의 대부분은 공립이며 초등학교에 병설되어 있으며, 원칙적으로 무상교육이고 학부모들로 부터 후원금을 받기도 한다. 맞벌이 부모가 대부분인 프랑스의 경우, 유치원은 보육원의 성격이 짙으며 각종 장난감, 교재도구 등 훌륭한 시설을 거의 완벽하게 갖추고 있다. 나. 초등학교 교육제도 중학교 교육을 성공적으로 받을 수 있는 기초 지식을 길러주고 스스로 사고할 수 있는 방법을 일깨워 주며 자유의 의미를 알게 하는 것이 근본 목표이다. 이러한 교육을 통하여 학생이 자율성과 책임감을 가지고 자신의 능력을 신장하며 활용하는 방법을 알게하고, 새로운 지식에 대한 욕구를 […]

프랑스 구급 서비스
환자들이 사고 현장에서 병원으로 후송되는 동안, 목숨을 잃는 안타까운 경우가 발생하는데, 환자를 병원으로 옮기면서 위급한 환자를 즉각적으로 치료할 수 있도록 ‘달리는 종합병원 SAMU : Service d’Aide Medicale Urgente’이라고 할 수 있는 구급차 시스템, SAMU. 응급 치료에 필요한 모든 약품과 자동호흡기, 심전도, 전기충격장치, 링겔 등의 의료 장비를 완벽하게 구비한 SAMU 구급차에는 소생술 시술 의사와 전문간호사, 인명구조에 대한 특별교육을 받은 운전사가 동승하도록 했다. 환자를 수송 하면서, 미리 병원에 환자의 상태를 자세히 알려, 환자가 병원에 도착하자마자 곧장 적절한 조치를 받을 수 있도록 신속하고 효과적인 처치는 프랑스의 자랑이다. 프랑스에는 96개의 SAMU 관제센터가 있는데, 이 센터들은 각각 해당 지역 공립병원의 지휘 하에 있고, 연간 2백만통 이상의 전화를 받는다. 환자가 발생하여 응급실에 전화를 하면 ‘관제’ 역할을 하는 의사가 전화를 받고, 전화를 건 사람이 설명하는 상태에 따라 우선적으로 일차적인 진단을 내리고, 전화를 건 사람에게 SAMU 구급차가 올 때까지 현장에서 취할 수 있는 조처를 알려준다. SAMU 구급차가 도착하면 환자의 증상에 따라 가장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병원으로 인도하도록 한다. 가장 빠른 시간 안에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병원으로 인도함으로써 환자의 생명이 달린 귀중한 시간을 벌 수 있는 것이다. 프랑스는 ‘소방 구급체계’와 ‘응급 의료 서비스’ 체제가 이원화되어 있다. 프랑스 ‘소방 구급체계’의 특징은 각 소방서마다 1 명의 의사를 배치, 평소에는 구급대원을 지도하며 응급환자 발생시엔 의사가 직접 출동하거나 응급처치 지시를 […]

프랑스 사회보장 제도
프랑스가 자부심을 갖는 사회보장제도!!! 수평적 재분배를 통하여, 국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복지정책으로, 어느 정도 평등한 사회를 실현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이다. 세금 많이 내어 함께 살자!!!! ^_^ 어떤 종류의 연금 공단이 있으며 보장 내용은 무엇인가에 대해서만 간단히 알고가자!!!! ① 일반 연금 : 공무원을 비롯한 모든 분야에서 봉급을 받는 근로자들과 학생들을 가입 대상으로 하는 연금 공단이다. 가입자의 분담금은 월급의 46.6%나 되는데, 본인은 13.5%를 부담하는 반면, 고용주가 나머지 33.1%를 대신 납부해 주어야 한다. ② 특별 연금 : 일반연금이 생기기 이전부터 존재하던 것들로, 파리 철도공사, 프랑스 국철, 전기 가스공사의 직원들이 각기 다른 특별연금에 가입하고 있다. ③ 개인 연금 : 봉급생활자가 아닌 자영업자나 자유 노동자들은 사회보장청(Sécurité sociale)에서 관리하는 일반연금이나 특별연금에 가입할 수 없는데, 개인연금은 바로 이들을 위해 만들어진 연금 공단이다. RSI 보장성 혜택 수당은 의료 수당, 가족 수당, 출산 수당, 주택 수당, 퇴직 수당, 실업 수당 등 그 종류도 다양하지만 지급 방법도 매우 복잡하다. 이들은 소득에 무관하게 프랑스 국민이라면 누구나 받을 수 있는 것과 가난한 사람들만 받을 수 있는 것으로 구분된다. ① 약국에서 약을 산 후 영수증을 보내면 약의 종류에 따라 약값 총액의 40%에서 100%를 공제 받으며, 병원에 갔을 때에는 진찰료의 60%, 입원료의 80%를 환불 받는다. ② 가족의 수입과 무관하게 출산 수당과 가족 수당을 지급하는 것은 유아 사망률을 줄이고 출산을 장려하여 인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이다. 프랑스 여자들은 누구나 […]

프랑스 행정제도
일반적으로 프랑스에서 정부라는 용어는 총리를 중심으로 하는 좁은 의미를 지칭하고 있다. 행정권은 대통령과 총리에 의하여 집행되는데, 평상시에는 총리가 국내 행정권을 행사하고 의회에 책임을 지며, 대외적으로는 대통령이 국가를 대표하는 형식으로 이원화 되어있고 비상시에는 대통령이 비상대권을 통해 국내외 모든 행정권을 행사한다. 대통령과 의회의 다수파가 일치할 경우에는 정부는 대통령의 실질적 지배하에 놓인다. 헌법상 정부는 국가정책을 결정하고 지휘하고, 총리는 정부의 활동을 지휘한다고 규정되어 있지만 정부정책이나 활동은 사실상 강력한 대통령의 지배하에 놓이게 되는 것이다. 총리는 ‘내각회의 Conseil de cabinet’를 주재한다. 그러나 내각회의는 제5공화국 하에서 대통령이 집행부를 장악하면서 그 기능을 크게 상실하였다. 각료의 임명과 면직에 대통령과 총리는 헌법상 공동의 권한을 행사한다. 대통령은 총리를 임명하며, 총리의 제청에 의하여 다른 각료를 임명하거나 면직시킨다. 각료는 국가장관(Ministre d’Etat), 장관(Ministre), 위임장관(Ministre délégué), 국가비서(Secrétaire d’Etat)가 있다. 지방정부 프랑스 지방분권의 역사는 ‘프랑스 대혁명‘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후 프랑스 민주주의의 역사는 시민들이 지방분권을 확장해 나가는 과정으로 볼 수 있는데, 사회당 정권의 수립 직후 ‘지방분권법 La loi de la déscentralisation’이라고 불리는 『1982년 3월 2일의 법』에 의해 오늘의 지방자치제도가 확립되었다. 이 법은 광역자치단체인 ‘지방 Région’, ‘도 Département’, 그리고 시·읍·면에 해당하는 ‘꼬뮌느 Commune’의 권한과 자유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프랑스 행정조직 1994년 현재 프랑스의 지방행정조직은 36,763개의 ‘꼬뮌느 Commune’, 100개의 ‘도 Département’, 26개의 ‘지방 Région’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2014년 ‘올랑드 Hollande’ 정부에서 13개 지역으로 재편한다. 여기에 특별자치단체로서 1982년 이후에 인정된 […]
파리 여행 동영상
서부 프랑스 여행 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