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부 프랑스 동영상
발자크 동상 (오귀스트 로댕)
La Status de Balzac “인물의 깊숙한 내면을 엿 보고, 그 사람의 생각을 상상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예술은 결국 신비한 세계로 빠져드는 것이다. J’ai compris qu’il fallait faire entrevoir le milieu où il vit et faire imaginer comme un halo d’idées qui expliquent ce personnage. L’art ainsi se prolonge en mistérieuses ondes” – 로댕 Auguste Rodin “창작 자체가 ‘발자크’의 창작에 대한 자존심, 그의 긍지와 열광을 보여 주는 형상을 만들어 준다. C’était la création elle-même qui se servait de la forme de Balzac pour apparaître; l’orgueil de la création, sa fierté, son vertige et son ivresse” – 릴케 R. M. Rilke 관찰자를 인물의 깊숙한 내부로 안내하는 작품!!! 육중한 몸집이 두 발은 약간 벌린 채 팔짱을 낀, 단순하지만 강력한 자세로 바닥까지 내려오는 긴 수도복을 입고 몽상에 잠긴 듯이 서 있는 발자크. 너무 비대한 머리에, 멀리 시선을 두고 있는 소설가 ‘발자크’의 모습은 외모를 보여주기 보다는 인물의 창조력과 소설가로서의 상상력을 보여주는 작품이라고…. ‘프랑스 문인협회 Société des gens de lettres’의 회장인 ‘에밀 졸라’는 이 모임을 창설한 ‘발자크’ 동상 제작을 1891년 ‘로댕’에게 의뢰하였고, ‘로댕’은 파리의 ‘빨레 로얄 Palais Royale’ 극장에 세워질 높이 3 미터 정도의 동상을 1893년 5월 까지 인도한다는 조건으로 1만 프랑을 받는다. 모델이 없는 작업은 불가능하며, 대상이 없는 상태에서는 착상조차 어렵다고 회고한 ‘로댕’은 […]
생각하는 사람 (오귀스트 로댕)
Le Penseur “그는 말없이 생각에 잠겨 앉아 있다. 모든 힘을 모아 생각하는 그의 온 몸이 머리가 되고, 혈관에 흐르는 피는 뇌가 되었다.” – 릴케 Reiner Maria Rilke – 소시적 초등학교나 중등학교의 교정에서 수없이 보았던, ‘생각하는 사람 Le Penseur’은 잘 발달된 근육을 통하여 모든 힘과 긴장을 표현하였으며, 지옥의 문을 위한 습작으로 일반인에게 공개되었을 때는 조롱을 받기도 하였단다. ‘삶의 예술 Les Arts de la vie’의 편집자인 ‘가브리엘 무레 Gabriel Mourey’ 의 후원에 힘입어서, 파리에는 최초로 1906년에 ‘팡떼옹’ 신전 앞에 청동 주물 작품이 놓였다가 1926년에 ‘로댕 박물관‘ 현재의 자리로 옮겨진 것이다. ‘생각하는 사람’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까? 맞은편에 위치한 지옥의 문 상단 부분에서, 인간의 욕심때문에 지옥으로 떨어진 군상들을 바라보며 고민하는 ‘단테’를 묘사한것을 독립시켜서 제작한 것이란다. “내 팬티가 어디로 갔지?”라며 팬티를 찾고 있는것이 아니고… 파리의 ‘장식미술 박물관’의 문으로 쓰일 <지옥의 문 Porte de l’Enfer>이라는 작품을 청동으로 만들어 달라는 주문을 받은 ‘로댕’은 많은 조각을 만들었으나, 원래 목적대로 <지옥의 문>을 위해 쓰인 것은 없고, 따로 따로 개별 작품으로 독립시켰다. 1880-1882년 ‘지옥의 문’을 위하여 습작 형식으로 만들고, ‘코펜하그 Copenhague’에서 1888년 높이 71.5 센티미터의 작품이 전시되어 극찬을 받는다. 이에 힘 입어 1902년 현재의 크기로 확대하여 1904년 ‘살롱 전 Salon’에 출품을 하였고, 사회적 여론이 형성되어 청동으로 제작하기에 이른 것 이란다. 고민하고 있는 ‘단테’를 묘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생각하는 사람>은 <신곡> 지옥 편 […]
신의 손 (오귀스트 로댕)
La main de Dieu 작품의 제목이 가리키듯, 아담과 이브의 창조를 신의 손을 모티브로 삼아 1896년 구체적으로 형상화한 작품! 이름없던 하나의 원석을 다듬고 형상을 만들어 이름을 지어주듯이, 신의 손이 ‘무’ (원석)에서 인류의 조상인 ‘아담’과 ‘이브’를 만들고 있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아직 미완성의 사람 형상이 잠들어있는 돌 덩어리를 어루만지는 매끄러운 신의 손은 찰흙을 다듬는 것처럼 아주 자연스럽다. 실제 이 작품을 감상하노라면, 1940년대에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 로댕의 < 신의 손 >을 처음 본 후 로댕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여 50 여 년 동안 약 750점의 조각, 드로잉, 사진, 판화 등을 수집했던 사업가 ‘제랄드 캔터 B. Gerald Cantor’를 이해할 수 있으리라… 본래 석고로 제작되었던 작품을 1896년 경에 다시 대리석으로 제작한 것이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조각가들이 대리석 작업을 좋아하지 않던 것처럼 ‘로댕’도 대리석 작업을 별로 좋아하지 않았다고…. 조각가가 찰흙으로 모형을 빚고, 석고로 주물을 뜬 다음에 ‘점 설치가 Metteur aux points’들이 대리석 덩어리를 대충 다듬고, ‘조수 Praticien’들이 ‘로댕’의 감독 하에 세밀하게 다듬는 것이 일반적인 수순이란다. 1890년, « 대리석 속에 본래부터 들어있는 형상을 알아내고는 필요 없는 부분을 제거한다. Dans chaque bloc de marbre il y a une statue. Il ne s’agit que de la deviner et de la faire sortir en enlevant ce qu’il y a de trop »라는 조금은 역설적인 ‘로댕’의 설명에 언론이 들끓었다고…..
우골리노 (오귀스트 로댕)
Ugolin “아픈 손을 깨물며 아이들의 얼굴에서 내 자신의 행색을 확인할 때, 배 고픔 때문이라고 생각한 아이들이 갑자기 일어나며 ‘아빠! 차라리 우리를 먹는다면 덜 괴롭겠어요…… Quand j’eus reconnu mon propre aspect sur les quatre visages, je me mordis les mains de douleur, et mes enfants, croyant que c’était de faim, se levèrent tout à coup disant : Oh! père ! il nous sera moins douloureux si tu manges de nous…… » – 단테의 신곡 중에서 < 단테의 신곡 지옥 편 33장 La Divine Comédie de Dante >에 등장하는 ‘우골리노’와 그의 아이들의 끔찍한 이야기는 ‘낭만주의’ 화가 ‘들라크르와 Delacroix’부터 상징주의 조각가 ‘로댕 Rodin’에 이르기까지 많은 예술가들의 영감의 원천이 되었으며 이것을 주제로 많은 작품을 제작하였는데, 이 작품은 본래 <지옥의 문>의 왼쪽 문의 중앙에 자리하였던 것을 후에 독립상으로 다시 제작한 것이란다. 역사적 사건 13세기 이탈리아 도시 국가 ‘피사 Pise’의 폭군이던 ‘우골리노 델라 게라데스카 Ugolin della Gherardesca’ 공작이 ‘우발디니 Ubaldini’ 대주교와의 권력 투쟁에서 패배하여 그의 아들들, 손자들과 함께 탑에 갇혀서 굶어 죽는 형벌을 받게 된다. 마지막까지 생명을 유지했던 우골리노는 결국 배고픔에 못 이겨, 먼저 죽어간 아들들의 시신을 먹는 끔찍한 죄를 저지른다. 자식을 잡아 먹는 심정을 상상할 수 있을까?? 결국 우골리노는 죽어서 지옥에 가게 된다는 것이 이 이야기의 줄거리인데, ‘로댕’은 ‘단테’의 묘사에 따라 죽은 아들들을 부르며 슬픔에 몸부림치면서 […]
입 맞춤 (오귀스트 로댕)
Le Baiser 1275년경에 이탈리아에서 일어났던 사건으로써, ‘Guido da Plenta’의 딸인 ‘프란체스카 Francesca’는 ‘리미니 Rimini’의 영주 ‘지안시오토 Gianciotto Malatesta’와 결혼한 사이였지만, 젊고 멋있는 시동생 ‘파올로 Paolo’와 이루어질수 없는 사랑에 빠지고, 걸국 남편의 손에 죽임을 당하여 지옥에 떨어진 이야기이다. 아름다운 모습과는 달리, 애틋한 사랑 이야기가 녹아 있는 입맞춤! 본래 이 작품은 <지옥의 문 Porte de l`Enfer>의 일부로 구상된 것이었지만, 1887년 파리와 브뤼셀에서 독립상으로 전시를 할때에 < 입맞춤 >이라는 이름으로 출품된 작품으로, 남녀의 순수한 행복(?)의 순간을 묘사한 것.19세기 문단에서 즐겨 인용하던 소재이었고, ‘낭만주의’ 거장 ‘드라크르와’, ‘앵그르’도 인용하여 작품을 남긴 ‘단테’의 <신곡> 지옥 편 제2장에 등장하는 ‘파올로 Paolo’와 형수인 ‘프란체스카 Francesca’ 사이의 비극적인 사랑을 묘사한 것이란다. ‘로댕’은 많은 작품에서 “사랑하는 연인”을 묘사하였는데, 그리스 조각에서부터 18세기 회화, 판화, 조각에 이르기까지 과거의 많은 작품들을 참조하여 만든 < 입맞춤 >이 ‘에로티시즘’을 드러내는 대표작으로 손꼽힌다. 1907년 11월 ‘흐뷔 Revue’라는 잡지와의 인터뷰에서 ‘로댕’은 “확실히 <입맞춤>의 감싸 안고 있는 모습은 아름답다. 그러나 나 자신이 이 한 쌍에게 특별한 의미를 두지는 않는다. 이것은 학파의 전통에따라 자주 다루어지던 주제일 뿐이다. Sans doute l’enlacement du Baiser est très joli, reconnaissait-il. Mais dans ce groupe je n’ai rien trouvé. C’est un thème traité souvent suivant la tradition scolaire”라고 술회한다.
지옥의 문 (오귀스트 로댕)
Porte de l`Enfer “로댕은 수백 점의 인물 군상에 인간의 정념, 쾌락의 절정과 여러가지 악의 무거운 짐을 표현하였다. 다닥 다닥 붙어서 동물처럼 이빨을 드러내고 서로의 몸을 깨물면서 뒤엉켜 지옥의 나락으로 떨어지는 육체들을 만들었다. 육체의 사슬이 화환과 덩굴손처럼 뻗어 나가고, 무언가에 귀 기울이는 얼굴, 무언가를 집어 던지려는 팔들과 군상들은 악의 즙에서 솟아나는 고통의 뿌리를 보여준다.” -헤네 마리아 릴케 Rainer Maria Rilke- ‘지옥의 문 Porte de l`Enfer’ 은 ‘단테’의 신곡을 주제로 하였으며, 로댕의 대부분 작품을 총망라한 불후의 걸작이라고 할 수 있다. 문 위에 있는 세 명의 인물은 지옥에 거주하는 ‘세 어둠 Trois Ombres’을 묘사하였지만, 실제로는 에덴동산에서 쫓겨난 아담의 변형이고, 인간의 정념과 야수성 및 잔인한 본성에 대한 질문을 수 많은 육체의 엉킴 속에서 보여주고 있으며, 이런 인간의 모습을 내려다보고 있는 ‘생각하는 사람‘의 모습이 있다. 장식미술 박물관의 현관 문 벨기에의 ‘브뤼셀’에서 7년간 생활할때에, 파리의 ‘살롱전’에 출품할 목적으로 제작한 ‘청동 시대’라는 조각은 모델에 석고를 씌워서 만들었다는 모함을 받아 물의가 잇따랐던 ‘로댕’. 하지만, ‘로댕’의 재능을 인정한 프랑스 미술부 차관 ‘에드몽 뚜흐께 Edmont Tourquet’는 신축하는 ‘장식미술 박물관 Musée des Arts décoratifs’ 입구를 ‘단테’의 <신곡 La Divine Comédie>을 주제로 만들어 달라고 주문한다. 새옹지마~~~~ ‘단테’의 <신곡>은 당시의 프랑스 문학과 미술계의 단골 메뉴이었는데, ‘들라크르와’는 <저승길을 건너는 단테와 베르길리우스>를 그렸고, ‘발자크’의 <인간희극>과 조각가 ‘까르포’가 배가 고파서 아들들을 잡아먹는 아버지인 <우골리노 Ugolin>를 조각하여 ‘로댕’에게 […]
칼레의 시민들 (오귀스트 로댕)
Les Bourgeois de Calais 왕권 전쟁인 ‘100년 전쟁‘(1337-1453) 중, 영국과 가장 가까운 프랑스 북부 항구도시의 위대한 인물들 이야기를 담은 작품이다. 이 영웅들을 기리기 위하여, 웅장하고 영웅스러운 모습의 조각상을 기대하면서 ‘로댕’에게 제작 주문을 하는데…..칼레의 시민들!!!! 각자 자기의 죽음을 향해 초라하게(?) 걸어가는 모습은 ‘칼레 Calais‘ 시민의 영광을 보여주기 보다는 굴욕을 보여준다는 이유로 거센 항의에 부딪치어 거부되어 오다가, 50년이 지나서야 ‘칼레‘ 시청 앞에 설치되었다고…… 영국군에 완강히 버티던 ‘깔레’의 시민들은 프랑스 왕 ‘필립 6세’가 군사적인 지원을 해 준다고 약속을 믿고 저항하는데, 약속을 지키지 않고 프랑스 군대가 회군하면서, 더 이상 저항하지 못하고 1347년 영국 왕 ‘에드워드 3세’ 에게 항복을 하게 된다. 저항한 괘씸죄를 묻기 위하여 ‘에드워드 3세’는 시민들의 목숨을 보장하는 대가로 중요 인물 6명의 목을 요구하는데, 시민들을 위하여 자진하여 목숨을 내놓았던 살신성인 ( 殺身成仁 )의 영웅들 이야기이다. 일반적으로, 기념물들은 높은 좌대에 얹혀지고, 대표 인물을 정점으로 피라미드 구도를 갖는데, 이 작품은 평등하게 인물을 배치하였고, 침묵으로 자신들의 운명을 향하여 말없이 나아가는 형상으로 조각이 된다. 운명 앞에 자신들의 목숨을 버린 영웅이지만, 인간으로서 죽음을 두려워하고 고뇌하는 모습 때문에….. 시민을 구하기 위하여, 당시 ‘깔레’에서 가장 부유한 ‘외스타슈 드 생 삐에르 Eustache de Saint Pierre’ 한 사람만, 지도자다운 덕성과 지혜가 충만한 모습으로, 운명에 순종하고 모든 것에 달관한 표정이다. ‘에드워드 3세’에게 넘겨줄 성의 열쇠를 들고 있는 ‘장 데르 Jean Derr’는 냉철하고 책임감 있는 얼굴이고, ‘삐에르 드 […]
파올로 프란체스카 (로댕)
Paolo et Francesca 마치 미완성인 것처럼 의도적으로 거칠게 손질한 부분과는 대조적으로 아주 매끈하게 처리된 두 형상은 공포 속에서 눈을 꼭 감은 채 서로를 부여잡고 있다. 표면에 반사되는 빛의 효과도 다양하지만, 대리석의 두께에 따라 투명할 정도로 은은한 빛이 두 형상을 감싸는 모습은 추상적인 느낌을 자아낼 뿐만 아니라, 이룰 수 없는 사랑의 파올로와 프란체스카를 묘사한 것이라고… 단테의 <신곡>에서 육욕의 죄를 지은 사람들이 바람 속에 절규하는 두 번째 지옥에서 단테가 만난 비극의 연인 파올로와 프란체스카!!! 시동생과 형수의 사이로 금지된 사랑에 빠졌다가 남편에 의해 살해당해 지옥에 떨어진 것이다. 1275년경 ‘지안치오토 말라테스타’와 정략결혼을 하게 되는데, ‘말라테스타’ 가문은 추남이며 절름발이 ‘지안치오토’ 대신에, 잘 생긴 동생 ‘파올로’를 맞선 장소와 혼인식장에 대신 내보내고, 정작 신혼 초야에 신부를 찾은 사람은 흉한 외모만큼이나 잔인한 성품을 지닌 ‘지안치오토’이었다고…. 위장결혼을 당한 셈!!! 처음부터 신랑으로 여겨 마음을 주었던 시동생 ‘파올로’를 숙명적으로 사랑하게 되는 ‘프란체스카’와 아름다운 형수의 처지를 동정하게 되면서 비극적인 사랑에 빠져들고 마는 ‘파올로’!!!!! 감정을 통제하지 못하여 정열의 밀회가 거듭되고 마침내, 시종의 밀고로 연인들의 간통 사실이 폭로되고…….
파리 여행 동영상
서부 프랑스 여행 동영상